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사회적 약자와 함께 같은 곳을 바라보며
아름다운 동행을 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겠습니다.
아무리 폴더를 깔끔하게 정리해서 파일을 보관한다 해도, 오랜 시간이 지나고 급하게 써야할 일이 있을 때 찾으려면 어디에 저장해뒀는지 몰라 한참을 헤매가 될 때가 많습니다. 저 같은 경우 실수로 폴더를 드래그 &드롭해서 엉뚱한 곳으로 이동시켜 놓고 찾지 못하는 일도 자주 있는 편입니다.이럴 때 어쩔 수 없이 윈도우 기본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, 이름 또는 확장자로 찾아보게 되는데, 써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PCIe 4.0 규격의 NVMe M.2 SSD나 HDD 할 것 없이 탐색 속도가 진짜 엄청나게 느립니다. 드라이브 용량이 크고 전체 파일 개수가 많으면 진짜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할 정도입니다.급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답답한데, 업무상 급하게 자료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정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데요. 이런 상황에서 너무나도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PC 최적화 도구인 컴퓨터 파일 검색 프로그램 '이지파인더(ezFinder)'를 소개드릴까 합니다.설치하기이지랩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웹 도구들을 제공합니다. 복잡한 작업을 간편하게, 당신의 일상을 더 효율적으로 바꿔보세요.PC 최적화 도구 이지파인더는 위 링크에 접속 후 '다운로드' 버튼을 눌러 받을 수 있습니다. 무료 소프트웨어인데다 흔한 배너 광고 조차 없어서 부담 없이 쾌적하게 쓸 수 있습니다.주요 기능이지파인더를 실행하면 이렇게 팝업 형태의 검색창이 하나 뜨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. 한 번 실행한 다음에는 '탭(Tab) 키를 더블클릭하면 언제든 바로 열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마우스 입력 없이 키보드 단축키만으로 열 수 있으니까 편리하더라구요.여기에 찾고 싶은 파일의 이름이나 확장자, 폴더명 등을 입력하기만 하면 끝!이때 정확한 이름을 모르더라도 중간에 몇 글자만 알면 아는 글자만 입력해도 찾는 게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 제안서를 찾을 경우 '제안' 혹은 '안서'만 입력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.그리고 찾은 결과에서 바로 열어서 확인하고 싶으면 더블클릭을 하면 되고, 폴더 위치로 이동하고 싶을 땐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우측에 있는 경로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다음 동영상subjectauthor 죄송합니다.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다시 시도해 주세요. 화면을 돌리거나 터치로 움직여 보세요가장 궁금하실거라 생각되는 탐색 속도는 윈도우 기본 기능과 비교하면 진짜 압도적이라는 표현으로도 부족할 정도입니다.이지파인더는 내장 드라이브 전체(ex. C:, D:, E:)를 대상으로 하는데 내용을 입력하는 즉시 결과가 나오는 반면, 윈도우 기본 기능으로는 특정 드라이브만 탐색하는데도 불구하고 굉장히 긴 시간이 걸렸거든요.위 영상은 1분 30초에서 끊었지만 실제로 C 드라이브(NVMe M.2 SSD 약 1TB 사용 중)의 탐색이 완료되기까지는 10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했습니다. 이만하면 비교하는 것 자체가 미안한 수준이죠?또한 컴퓨터 파일 검색 프로그램으로 소개를 드리고 있지만 '웹 검색'도 지원합니다.웹에서 자료를 찾고 싶을 땐 'N'을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 원하는 내용을 쓰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됩니다. 즉 날씨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'N 날씨'라고 작성하면 되고, 제 닉네임인 소라윙즈로 찾아보고 싶을 땐 'N 소라윙즈'라고 작성을 하면 돼요.여기서 N은 네이버의 단축키로 구글에서 찾아보고 싶다면 'G', 유튜브는 'Y'를 입력하면 되겠습니다. 혹시 다른 단축키로 바꾸고 싶다면 '설정' 아이콘을 눌러 설정 모드에 진입 후 '키워드 설정' 메뉴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.현재는 네이버, 구글, 유튜브 등 일부 사이트만 고정적으로 지원하는데, 차후 자유롭게 추가 &삭제 할 수 있게 되면 더욱 만족스럽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.지금까지 컴퓨터 파일 검색 프로그램 이지파인더를 소개해드렸습니다. 업무 효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PC 최적화 도구를 찾아보고 있었다면 꼭 써봐야 하는 툴이 아닐까 싶네요.앞서 이야기드린 것처럼 광고 없이 무료로 쓸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 부담 없이 써볼 수 있으니, 쓸까말까 고민하기 보단 바로 설치해서 업무에 도입하여 활용해 보는 건 어떨까요? 분명 큰 도움이 되어줄 거라 생각합니다.